아하 스토리
-
중요성과 긴급성에 따른 우선순위 매기는 법아하 스토리 2022. 4. 18. 15:41
🔰 우리가 매번 시간 관리에 실패하는 이유 우리는 아래와 같을 때 시간 관리가 절실하다. ① 해야 할 일이 너무 많은데 그것을 한정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싶을 때 ② 스케쥴러에 엉켜버린 해야 하는 일과 하고 싶은 일을 배분하고 싶을 때 ③ 하고 싶은 일이 많을 때 전체 시간 중 어떤 비중으로 해야 할지 고민될 때 하지만 시간관리를 시작하려고 하면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다. '시간'을 어떻게 배치해야 할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그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일들을 마구 배치하는 경우도 있고, 컨디션에 따라 해야 할 일들을 까먹은 채 엉성하게 배치를 하기도 한다. 일을 배치하면서 무엇이 효율적인지에 대해서 크게 생각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실행단계에 들어가서야 다시 일을 재배치하는 경우도 매우..
-
단순하게 그리고 천천히 행복을 누리는 법아하 스토리 2022. 4. 15. 16:28
19세기에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동시대 사람들에게 단순하게 살라고 권유했다. “단순함, 단순함, 단순함! 당신이 하는 일을 백 가지나 천 가지가 아니라 두세 가지로 줄이고, 백만이 아니라 여섯을 세라.” 소로의 말은 세상이 점점 복잡해지고 중압감은 시시각각 커지는 오늘날에 더욱 적절하게 들린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제한돼 있고 해야 하는 일은 너무나 많다. 이런저런 일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게 움직여야 하는 상황은 삶의 여러 부분에서 우리를 불행하게 한다. 연구원 수전과 클라이드 헨드릭은 건강한 관계를 위해 단순한 삶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만약 우리가 단순하게 살면서 스트레스 수준을 줄일 수 있다면 사랑과 성을 포함해서 대인관계가 풍요로워질 것이다. 더불어 삶의 긍정적인 측면도 증가할 것이다.” ..
-
일 잘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시간관리 3단계아하 스토리 2022. 4. 15. 16:04
🔰 일 잘하는 사람 VS 일 효율이 떨어지는 사람 일을 잘하는 사람들에게는 큰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일의 우선순위가 명확하다는 것이다. 이는 쓸데없는 일에 시간을 뺏기지 않고, 하지 않아도 될 일에 시간을 뺏기지 않는 것으로도 이미 충분히 많은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정말로 시간을 쏟아야 할 중요한 일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반대로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사람들 중에는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아 실제 일을 할 때 써야 할 두뇌 공간과 에너지를 일을 떠올리고 분류하는 데 쓰는 경우도 많다. 의외로 일을 꽤 오래 한 사람들이 많이 겪는 문제인데 그동안의 경험, 속된 말로 ‘짬’이 있기 때문에 별다른 계획이 없더라도 하루하루 반복되는 업무 정도야 별 무리 없..
-
물건 정리를 잘하는 사람은 대부분 일처리도 야무지게 잘합니다아하 스토리 2022. 4. 5. 16:18
물건 정리를 잘하는 사람은 대부분 일처리도 야무지게 잘한다. 잘 세워진 자신만의 정리정돈 기준과 원칙이 책상 뿐 아니라 데이터나 일정관리, 우선순위 결정같은 업무에도 그대로 적용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돈을 잘하는 사람은 '일 잘하는 이미지'를 풍기게 된다. 그렇다면 평소 정리 습관이 어떻게 효율적인 일처리로 이어질 수 있을까? 아래의 '나초심' 사원의 사례를 통해 평소 정리 습관이 얼마나 중요한지 살펴보자. 나초심 사원은 평소 '아이젠하워식' 정리법을 활용해 일처리 기준을 정했고, 덕분에 기존에 일을 쌓아둘 때보다 한결 일 속도도 빨라져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해졌다. * 나초심 사원의 깨끗한 (책상) 정리법 ‘버릴 것인가 /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줄 것인가 / 그도 아니면 재분류하여 정리할 ..
-
일머리 좋아 보이는 답변의 세 가지 포인트✨아하 스토리 2022. 3. 31. 17:24
'먹히는’ 말이 있고 ‘막히는’ 말이 있다. 어떤 메시지는 나의 뜻이 상대방에게까지 도달하고 행동 변화도 유도하지만, 어떤 메시지는 내 입을 떠났을 뿐 상대방의 마음이나 행동에는 아무런 변화도 만들지 못하고 막혀버린다는 뜻이다. 일 잘하는 사람은 같은 말을 해도 센스있게 한다. 회의 중간 15분 동안 휴식을 알려야 할 때도, '지금부터 15분 동안 쉬겠습니다'라고 하지 않고, '지금 3시 30분인데, 3시 45분까지 쉬겠습니다'라고 구체적으로 말하는 것이다. 말하는 사람 입장에선 똑같이 15분 동안의 휴식을 알리는 것이지만, 듣는 사람 입장에선 후자처럼 구체적으로 이야기했을 때 훨씬 더 명료하게 들리기 때문이다. 🔰 일머리 좋아 보이는 답변의 세 가지 포인트 하루에도 여러 차례 지시와 보고가 오가는 회사..
-
'회사에서도 행복할 순 없을까?' 일에서 찾는 의미와 즐거움아하 스토리 2022. 3. 31. 16:48
🔰 일에서 찾는 의미와 즐거움의 중요성 히브리어로 ‘일Avoda’이라는 단어는 ‘노예Eved’와 어원이 같다. 대부분이 생계를 위해 일한다. 설사 생계를 위해 일할 필요가 없다고 해도 천성적으로 일을 해야만 한다. 우리는 행복해지기를 원하고 행복해지기 위해서 일을 해야 한다. 천성에 의해 일을 하지만 즐거움을 느끼는 일을 하면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그것은 어떤 가치에 자신의 선택을 둘 것인지에 따라 달려있다. 그렇다면 선택을 할 때 우리 자신에게 몇 가지를 물어보자. 나는 지금 직장에서 행복한지, 어떻게 해야 조금 더 행복해질 수 있을지, 지금 하는 일이 싫다면 그만두고 다른 의미 있는 일을 찾을 수 있을지, (그만두고 싶지만) 지금 당장은 직장을 그만둘 수 없거나 그만두고 싶지 않다면 지금 하는 일..
-
목표를 달성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아하 스토리 2022. 3. 21. 11:14
로버트 M. 퍼시그는 《선을 찾는 늑대》에서 고승들과 히말라야 등정을 함께했던 일화를 소개했다. 퍼시그는 원정대에서 가장 젊은 사람이었는데도 혼자만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등정을 포기하고 말았지만, 고승들은 힘들이지 않고 정상까지 올라갔다. 정상에 도달하겠다는 목표에 초점을 맞춘 퍼시그는 앞으로 가야 할 길이 막막해서 등반 자체를 즐길 수 없었고 결국 계속 올라 가겠다는 의욕과 의지를 잃었다. 반면 고승들에게 정상에 도달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았기에 계속 올라갈 수 있었다. 그들은 자신이 적절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았으므로 여정을 걱정하지 않고 히말라야를 오르는 현재에 초점을 맞춰 즐길 수 있었다. 목표를 설정하고 행동하면 현재를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만약 우리가 목적지를 정하지 않고 도로여행..
-
대화를 지배하는 건 내용이 아닌 말투다아하 스토리 2022. 3. 21. 10:17
한 벤처기업에서 인사팀장으로 일하는 분과 대화를 나누던 중 다음과 같은 말을 한 적이 있다. “회의 시간에 아무 의미 없는 낙서를 하고 있는 팀원을 보면 그렇게 미울 수가 없더라고요.” 어느 영화의 한 대사처럼 “넌 나에게 모욕감을 줬어!”라고 소리치고 싶었단다. 상대방이 말하는데 듣는 둥 마는 둥 딴짓을 하는 것은 결국 ‘나는 당신에게 별 관심 없습니다’라는 무시의 표현과 다름없다. 상대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결국 분노에 이르게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잘못된 사례다. 팀원은 억울할지도 모르겠다. ‘아무말도 하지 않고 끄적대고 있었을 뿐인데 왜 저러지?’라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말하지 않았다고, 화를 내지 않았다고 아무 잘못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례들, 찾아보면 너무나도 많다. 그러나 당신의 비언어적 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