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스토리
-
기획자가 영감을 내것으로 풀어내는 방법아하 스토리 2022. 1. 19. 11:33
영감이란 녀석이 매끈히 잘 다듬어져서 예쁜 그릇에 담긴 다음 먹기 좋게 우리 앞에 놓일 확률은 없습니다. 대신 ‘이게 뭐지? 이거 먹는 건가? 아닌가? 이걸 여기 놓으면 저거랑 아 귀가 맞나?’라는 혼란스러움과 함께 참 애매한 형태로 여러분을 스쳐 지나갈 겁니다. 묻은 흙을 털어내고 모난 부분을 깎아도 보고, 때론 이로 깨물고 직접 혀를 대봐야 대충 뭔지 감을 잡을 수 있는 정도일테죠. 그러니 이 불완전한 영감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온몸을 써야 합니다. 투수가 공을 던질 때처럼 말이죠. 기획자로서 영감을 '내 것으로 풀어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STEP 1. 영감을 풀다 무엇인가를 기획하는 일을 오랫동안 하다 보니 저도 조금씩 저만의 방식들을 만들어가게 되더군요. 쓸 만한 아이디어인 지 아닌지를..
-
결국 해내는 사람이 되는 법아하 스토리 2022. 1. 5. 14:22
당신은 피할 수 없는 문제들이나 어려운 도전 과제를 만났을 때 부딪혀서 해결하는 스타일인가, 아니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회피하는 스타일인가? 당신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스타일인가, 아니면 실수를 통해 무언가를 배우는 스타일인가? 만일 어떤 압박에도 불구하고 도전을 멈추지 않거나 실패할 위험을 안고서라도 성공을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면, 당신에겐 분명 성장 마인드셋이 필요할 것이다. 피할 수 없는 문제 앞에서도 '결국 해내는 사람'이 되는 성장 마인드셋을 살펴보자. 💡 고정 마인드셋 vs 성장 마인드셋 캐롤 드웩(Carol Dweck)의 책 이란 책엔 이런 말이 나온다. 우리의 삶은 ‘고정 마인드셋’을 가졌느냐 ‘성장 마인드셋’을 가졌느냐에 따라 궤적을 달리한다는 것이다. 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
-
질문을 바꿔야 삶이 바뀐다아하 스토리 2022. 1. 5. 14:22
일을 하다보면 언제나 크고 작은 위기가 찾아온다. 같은 위기 앞에서도 부정적으로 생각하며 쉽게 포기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오히려 '일이 되도록' 결국 해내는 사람이 있다. 포기하지 않고 결국 일을 성공시키는 사람들에겐 한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나는 왜 할 수 없을까?'라는 질문 대신 '어떻게 해낼 수 있을까?'로 스스로에게 질문한다는 것이다. 질문은 열쇠와 같다. 부정적인 질문은 부정적인 문을 열고, 긍정적인 질문은 긍정적인 문을 연다. 두 개의 문을 열고 바라본 세상 역시 같을 수 없다. 피할 수 없거나 반복되는 문제들 앞에서 결국 해내는 사람이 되기 위해선 질문을 바꿔야 한다. 아주 조금만 다르게 질문을 던져도 우리도 '결국 해내는 사람'의 마인드셋을 가질 수 있다. 🗨 실패하는 사람들의 ..
-
[2021 NANA] 아하 뉴스레터 연말 시상식🏆아하 스토리 2021. 12. 10. 11:02
(아하뉴스) 루비 기자 아하레터 측은 12월 15일 오후5시, 제 2회 2021 NANA(Notable AHA Newsletter Awards 노터블 아하 뉴스레터 어워즈)를 진행했다. 이날 시상식은 길어지는 코시국에 비대면 줌(zoom)으로 개최되었다. 아하레터 만드는 슈가슈가에 따르면 올해 NANA에서는 이전에는 없던 구독자 최다 클릭상, 월드와이드 공감상, 베스트 시간관리상 같이 특별한 상이 많았다고 한다. NANA가 진행되는 동안 팀 아하레터 사이에서도 반응이 뜨거웠다. NANA 키워드가 단톡방 실시간 트렌드에서 1위를 차지할 만큼, NANA에 대한 팀 아하레터의 관심도가 매우 높았다. 2020년에 시작된 아하레터는 '작심삼일 반복하면 못할일이 없습니다'라는 슬로건으로, 유용하나 널리 알려지지 않..
-
엉망으로라도 일단 시작하기아하 스토리 2021. 12. 9. 13:24
12월. 왠지 ‘새해 계획'을 세우고 싶은 시즌이다. 올해 하려다가 못한 일 목록이 떠오르고, 아 그럼 내년 1월부터는 새벽에 일어나서 하나씩 해보겠다고 모닝루틴을 계획하거나 없는 시간을 쪼개서 반드시 해내리라 다짐하며 12월을 보낸다. 어? 그런데 이건 작년에도 반복한 일 아닌가? 그럼 올해는 왜 못했을까, 아 맞다. 시작은 의욕적이었으나 언젠가부터 온갖 다양한 이유로 미루기 시작했다. 우리는 왜 미룰까..? 미루기의 심리학 ‘미루기 procrastination’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기원했는데 pro는 ‘앞으로’, crastinus는 ‘내일’이라는 뜻이다. 종종 쓸데없이 발 생하는 지연을 가리키며, 우리는 지금 당장 행동하는 게 가장 좋다 는 사실을 뻔히 알면서도 이런 행동을 한다. 그럼 나쁘다는 걸..
-
어느 정도의 불안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유산균' 같은 거죠.아하 스토리 2021. 11. 30. 10:15
우리는 매일 크고 작은 불안과 함께 살아갑니다. 불안은 자주 스스로를 의심하게 하고, 자존감을 깎아 먹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이 불안을 완전히 없앨 수 있을까 고민합니다. 하지만 불안이란 아무리 없애려고 노력해도, 사소한 일에 시도 때도 없이 일어나곤 합니다. 이런 불안과 두려움 앞에서 김이나 작사가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인간은 어느 정도 불안증이 있어야 해요. 불안해야지만 무언가를 대비하고, 또 나를 방어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불안한 감정을 전부 표백하고 소독해버려야 되는 거라 생각하면 안 되는 것 같아요. 어느 정도의 불안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없으면 큰일 나는, 마치 '유산균' 같은 거죠. 유해균이라고 취급돼서 그것까지 다 항생제로 없애버리면 고생하니까요.' 그렇다면..
-
2만 특별호에 보내주신 구독자 메시지아하 스토리 2021. 11. 25. 16:34
구독자 2만을 기념해 발행한 지난 특별호에 예상보다 더 많은 반응을 보내주셔서 슈가슈가와 섭섭이는 정신이 혼미합니다. 일잘러 구독자들이 많아서 준비한 '랜선사수 강연', 제가 완독을 싫어해서 기획한 '완독하지 않는 북클럽'에 신청자가 너무너무 많았어요. 게다가 업무모드 on-off로 설정해 본 슈가슈가와 섭섭이의 귀여운 굿즈 이벤트도 빠르게 sold out 되었답니다. (제작 물량 소진!! 사실 제가 소심해서 너무 소량 준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다음엔 더 좋게 더 많이 준비해 보겠습니다) 그중에서 제일 감동적인 부분은 여러분들이 저희에게 보내주신 메시지들이었습니다. 메시지들에서 가장 많이 보인 단어는 '덕분에', '유용', '도움됨', '재미', '추천'이었는데요. 그만큼 구독자 분들께..
-
불안한가요? 골치아픈 생각에서 벗어나는 법아하 스토리 2021. 11. 25. 14:25
이 글을 먼저 클릭했다면, 아마도 당신은 하기 싫은 일을 할 생각에 골치가 아플 가능성이 크다. 무력한 기분이 들어 다 그만하고 싶기도 하고, 하기 싫다는 생각이 끊임없이 떠오르니 혹시 스스로가 비관적인 사람이 아닐까 싶기도 한다. 그런데 왜 어떤 사람은 남들보다 특히 긍정적일까? 같은 상황에서 나는 비관적인데 긍정적인 면을 보고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틀어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어떻게 하면 우리가 원하는 삶에 더 가까워지도록 변화할 수 있을까? 그 답이 더 낙관적인 삶, 어쩌면 더 보람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핵심일지도 모른다. 🚨 지금 당장, 응급처치 스스로를 괴롭히지 말자. 말은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힘이 세다. 자신에게(혹은 타인에게) 불안하거나 무능력하거나 부끄럽다고 말할 때마다 대상을 이런 특..